작년(2010년) 초반에 반주법에 대한 내용을 다루면서 음악적인 기본적인 내용들을 설명해봤습니다.
나름 음정이랑 이것저것 했었는데... 어떻게 올렸는지 기억이 나질 않네요.
그림 파일은 많은데 말이죠. 그래서 다시 재정비해서 올려보려고 합니다.^^
#(샵)과 ♭(플렛)이 들어있는 조표에서 조성을 파악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우리가 쉽게 알고 있는 임시표가 아무것도 붙지 않은 Ckey(다장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그럼 이제 #(샵)과 ♭(플렛)이 조표에 붙는 순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I. #과 ♭이 붙는 순서
위의 그림과 같이, #은 파→도→솔→레→라→미→시 순으로 붙습니다.
그리고 ♭은 #과는 정반대로 시→미→라→레→솔→도→파 순으로 붙습니다.
II. #이 붙은 조표의 으뜸음과 조성 파악하기
#이 붙는 조표에서는 마지막 #이 걸려있는 음이 계이름으로 '시'가 됩니다.
그럼 아래와 같이 #이 2개(파, 도) 있는 조표에서는 으뜸음과 조성을 이렇게 파악하시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걸려있는 #, C음에 #이 걸려있죠?
그래서 계이름으로 'C#음'이 '시'가 되는 것입니다.
그럼 바로 위의 음인 'D'가 '으뜸음(도)'가 되는 것이죠. ∴ Dkey(라장조)
그럼 다음으로 #이 네개(파, 도, 솔, 레)나 붙은 조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D'음에 마지막 #이 걸려있죠? 그래서 'D#'음이 계이름 '시'가 됩니다.
고로 바로 위의 음인 'E'음이 '으뜸음'이 되는 것이죠. ∴ Ekey(마장조).
이런 식으로 #이 붙어있는 조표는 조성을 파악하시면 됩니다.
III. ♭이 붙은 조표의 으뜸음과 조성 파악하기
#이 붙어있는 조성과 마찬가지(?)로 마지막 조표가 붙어있는 음을 먼저 파악하시면 됩니다.
#이 붙어있는 조표에서는 마지막 #이 붙어있는 음정이 계이름 '시'였습니다.
하지만 ♭이 붙어있는 조표에서는 마지막 ♭이 붙어있는 음정이 계이름 '파'입니다.
그렇게 해서 조성을 파악하시면 됩니다.
♭이 붙어있는 'B음', 'B'음에 ♭이 붙었으니 'B♭'이 계이름으로 '파'가 됩니다.
그럼 세 칸 아래인 'F'음이 '으뜸음'이 됩니다. ∴ Fkey(바장조)
그럼 ♭이 4개(시, 미, 라, 레) 붙은 조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와 같이 마지막 ♭이 붙은 'D'음, 'D♭'음이 계이름 '파'가 됩니다.
순서대로 올라가면서 '파~솔~라~시~도'... A♭음이 '으뜸음'이 되는 것이죠.
∴ A♭key(내림 가장조)
생각보다 어렵지 않죠?^^
갖고 계신 찬송가나 CCM 악보집에서 이와 같이 조표를 파악해 보세요^^
마지막 #음 = 계이름 '시'~!, 마지막 ♭음 = 계이름 '파'~!
기억하세요~~~^^
나름 음정이랑 이것저것 했었는데... 어떻게 올렸는지 기억이 나질 않네요.
그림 파일은 많은데 말이죠. 그래서 다시 재정비해서 올려보려고 합니다.^^
#(샵)과 ♭(플렛)이 들어있는 조표에서 조성을 파악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우리가 쉽게 알고 있는 임시표가 아무것도 붙지 않은 Ckey(다장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그럼 이제 #(샵)과 ♭(플렛)이 조표에 붙는 순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I. #과 ♭이 붙는 순서
위의 그림과 같이, #은 파→도→솔→레→라→미→시 순으로 붙습니다.
그리고 ♭은 #과는 정반대로 시→미→라→레→솔→도→파 순으로 붙습니다.
II. #이 붙은 조표의 으뜸음과 조성 파악하기
#이 붙는 조표에서는 마지막 #이 걸려있는 음이 계이름으로 '시'가 됩니다.
그럼 아래와 같이 #이 2개(파, 도) 있는 조표에서는 으뜸음과 조성을 이렇게 파악하시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걸려있는 #, C음에 #이 걸려있죠?
그래서 계이름으로 'C#음'이 '시'가 되는 것입니다.
그럼 바로 위의 음인 'D'가 '으뜸음(도)'가 되는 것이죠. ∴ Dkey(라장조)
그럼 다음으로 #이 네개(파, 도, 솔, 레)나 붙은 조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D'음에 마지막 #이 걸려있죠? 그래서 'D#'음이 계이름 '시'가 됩니다.
고로 바로 위의 음인 'E'음이 '으뜸음'이 되는 것이죠. ∴ Ekey(마장조).
이런 식으로 #이 붙어있는 조표는 조성을 파악하시면 됩니다.
III. ♭이 붙은 조표의 으뜸음과 조성 파악하기
#이 붙어있는 조성과 마찬가지(?)로 마지막 조표가 붙어있는 음을 먼저 파악하시면 됩니다.
#이 붙어있는 조표에서는 마지막 #이 붙어있는 음정이 계이름 '시'였습니다.
하지만 ♭이 붙어있는 조표에서는 마지막 ♭이 붙어있는 음정이 계이름 '파'입니다.
그렇게 해서 조성을 파악하시면 됩니다.
♭이 붙어있는 'B음', 'B'음에 ♭이 붙었으니 'B♭'이 계이름으로 '파'가 됩니다.
그럼 세 칸 아래인 'F'음이 '으뜸음'이 됩니다. ∴ Fkey(바장조)
그럼 ♭이 4개(시, 미, 라, 레) 붙은 조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와 같이 마지막 ♭이 붙은 'D'음, 'D♭'음이 계이름 '파'가 됩니다.
순서대로 올라가면서 '파~솔~라~시~도'... A♭음이 '으뜸음'이 되는 것이죠.
∴ A♭key(내림 가장조)
생각보다 어렵지 않죠?^^
갖고 계신 찬송가나 CCM 악보집에서 이와 같이 조표를 파악해 보세요^^
마지막 #음 = 계이름 '시'~!, 마지막 ♭음 = 계이름 '파'~!
기억하세요~~~^^
반응형
'†유끼의 악법(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드 반주 패턴 피아노 악보(느린 곡) - 17가지 (1) | 2013.01.11 |
---|---|
[樂]미디엄 템포 반주 (2) | 2012.02.01 |
유끼박의 콩나물 요리법(1) (0) | 2010.11.22 |
[法]디미니쉬 코드와 보이싱 방법 (0) | 2010.10.14 |
[法]4화음 - Major 7th, Dominant 7th, Minor 7th (0) | 2010.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