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86

만 입이 내게 있으면 있으면(23장) 이해하기

만 입이 내게 있으면(새찬송가 23장) Yuki Vers. 만입이 내게 있으면 이해하기 0:20 b이 내게 있으면 마지막 b자리가 계이름 '파' 1:13 3/2박자는 2분음표가 한 박입니다. 느낌은 3/4박자에요. 1:33 Gkey로 4성부 연주하기. 2:04 찬송가 4성부를 토대로 코드 찾기 2:52 G/B에서 3음 중복 피하기(add9으로) 3:11 D7/F# 이것 또한 3음 중복. 3:37 좀 더 편하게 연주하기^^ 3:50 D코드(V화음)에서의 베이스 3음으로 이동 4:29 4번째 파트. 오른손 엄지가 늘었습니다.

만 입이 내게 있으면(23장)

만 입이 내게 있으면(새찬송가 23장) Yuki Vers. 새찬송가 23장 '만 입이 내게 있으면' 입니다. 원곡은 Ab키인데 반키 내려서 Gkey로 작업해 보았습니다. 처음은 찬송가 4성부를 그대로 연주하고, 4성부를 토대로 나온 코드대로 세번에 걸쳐 조금씩 부드럽게 바꿔 보았습니다. 여운있는 찬송가의 경우 이런 방법을 쓰시면 박자 맞추기가 좀 쉬워집니다.

십자가 군병 되어서 이해하기

▣'십자가 군병 되어서' 이해하기.(9분 영상) 00:38 1도 화음에서 M7 사용^^ 00:41 2도 화음인 Em7 구간에서 D코드 섞기 01:18 첫번째는 간단한 기본적인 리듬 반주 01:25 M9이란? M7+add9 01:37 E7구간에서 D코드 섞어치기 02:00 Bm7구간에서 A코드 섞어치기 02:16 Em7(11)이란? Em7에서 4음(11음) 추가 02:52 처음 연주의 리듬 설명 03:22 두번째 연주. 멜로디를 함께 연주했습니다. 03:35 E7에서의 13음(6음) 연주. 9음도 추가. 04:10 Em7에서 6음을 더함. Em7(13) 04:41 세번째 연주. 둔둔따두따 둔둔따둔따^^ 05:00 B7(b9) 코드 05:29 D코드(1도)에서 G코드 섞어치기 05:46 목감기라 그래요. ㅎ..

십자가 군병 되어서(353장)

십자가 군병 되어서(새353장) Yuki Vers. 새찬송가 353장 '십자가 군병 되어서'입니다. 코드를 약간 부드럽게 바꿔보았습니다. 1절은 바꾼 코드를 토대로 간단하게 반주해 보았습니다. 2번째는 간단한 리듬에 멜로디를 포함해 보았습니다. 3번째는 왼손의 리듬에 변화를 주면서 약간 리드미컬하게 코드 반주해 보았습니다. 4번째는 리드미컬한 반주에 멜로디를 함께 연주해 보았습니다. 1번째에서 익힌 코드와 2번째에서 멜로디와 병행하는 연주를 토대로 연습을 하신 뒤 익숙해지면 3번 4번으로 넘어가시면 됩니다. 처음부터 욕심내지 않고 천천히 익혀나가시면 좋을 것입니다.

신부 입장곡(혼례의 합창)

by Yuki Vers. 다들 많이 아시는 곡이죠? 결혼식에서 신부 입장할 때 흔하게 연주되는 그 곡입니다. 개인적으로, 그냥 클래식 악보로 해보기도 했지만... 두어달 전 친구 결혼식 때 그 멜로디에 코드를 다르게 해서 연주했었습니다. 이렇게 연주하는 것도 나름 부드럽고 좋지 않을까 싶어 작업해 봤습니다. 들어보시고 혹시 예식 때 연주하고픈 분들은 악보를 구매해서 해 보시는 것도 좋을 듯 싶습니다.

목소리 높여서(새6장) 이해하기

목소리 높여서(새6장) 이해하기 이번에는 특별히 멜로디 악보를 영상에 첨부해 봤습니다. 기존 찬송가에는 분수코드가 없는데 분수코드를 표기해서 연주해 봤습니다. 생각보다 이 악보가 찬송가 4성부 치는 것보다 편함을 경험하실 수 있을 겁니다. 총 세 번 연주했습니다. 첫번째는 찬송가 4성부 그대로~! 두번째는 찬송가 4성부를 토대로 한 코드를 적은 후, 멜로디와 코드만으로~! 세번째는 멜로디와 코드대로 치면서 살짝살짝 풀어줬습니다.

목소리 높여서(새6장)

새찬송가 6장 '목소리 높여서'입니다. 마지막 네 마디를 전주로 하였고, 1절은 찬송가에 나와있는 4성부 그대로 연주했습니다. 두번째는 4성부로 인해 나오는 코드들을 적고 멜로디와 코드만 보고 연주했습니다. 아마 피아노 악보를 잘 못보시는 분들에겐 두번째 패턴이 편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코드를 바로바로 칠 수 있다는 가정하에요^^ 세번째는 두번째의 악보를 토대로 중간 중간 왼손음을 나열함으로 허전한 부분들을 채웠습니다. 아마 두번째보다 좀 더 부드러운 소리가 나지 않나 생각해 봅니다. 찬송가 4성부 악보와 비교하면서 연주하시면 코드 반주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주 어느 때 다시 오실는지 해설편

주 어느 때 다시 오실는지 - 해설편 0:24 원곡은 Bb키인데 A키로 작업을 했습니다. 0:42 Bm7(11) 코드 풀이 1:28 A(1절) 멜로디 위주의 연주 1:50 왼손 경과음 풀이 2:38 왼손 보이싱은 1음과 7음 또는 1음과 5음 2:50 악보와 다르게 부르는 멜로디 3:23 오른손 보이싱에서 멜로디에 대한 연속으로 인해 생략된 음. 4:00 오른손 손가락 번호를 정해 보세요^^ 4:43 B(2절) 기본적인 빠른곡에서 반주. 5:30 메트로놈으로 연습하는 게 좋아요. 7:00 C(3절) 기타스러운 반주패턴 7:56 3번째 박자의 오른손 보이싱을 16분음표 먼저 눌렀습니다. 9:07 C패턴의 예시 - 하나님의 나팔소리 9:28 주의 친절한 팔에 안기세에서의 활용 10:20 C파트의 연습 - 천..

주 어느 때 다시 오실는지(새176장)

주 어느 때 다시 오실는지(새176장) 정말 얼마만에 영상을 올리는지 모르겠네요^^ 중간 중간 붓점리듬이 있어 셔플로도 할 수 있지만 8비트 및 16비트로 해 보았습니다. 1절은 코드를 바탕으로 멜로디 연주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2절은 기본적인 보이싱과 리듬패턴입니다. 심플한 반주를 하실 수 있습니다. 3절은 살짝 기타적인(?) 리듬을 써보았습니다. 같은 패턴으로 끝까지 반주했던터라 리듬 공부에 도움이 되실 겁니다. 4절은 조금더 왼손을 움직여서 3절보다 더 리듬감이 있게 연주되어질 수 있도록 해 보았습니다. 이런 리듬이 정작 실제 찬양할 때 방해가 될 수도 있지만 이런 리듬도 알아두면 분명히 쓰실 곳이 생길 것입니다.

[樂]수줍게 시작했던 - 해설 영상

수줍게 시작했던(결혼식 축가) 해설 0:53 Em7 의 IIm7(b5) V7 은 F#m7(b5) B7 2:10 홍키통키 리듬이라고 합니다. 2:20 G GM7 G7 C 진행. 이 진행 익숙하죠? 3:44 기본적으로 페달 없이 진행합니다. 4:14 D코드에서의 2,5음을 이용한 리듬입니다. 4:34 E || Am7 진행에서 E코드를 분할했습니다. Esus4 E D/F# E/G# || Am7 5:04 '전능하신 나의 주'에 나오는 진행입니다. Bm7 D/C Bm7 || 5:47 C#7(#11) 은 G7의 증4대리화음입니다. 7:00 '아주먼 옛날'에서의 적용(V || IV) 8:00 Am7 Ab7. Ab7은 D7의 증4대리화음입니다. 8:34 Bm7 Bbm7 || Am7 에서의 Bbm7. 9:11 '아주 먼..